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일의 월급명세서 알아보기

by Lindental 2022. 3. 29.

독일에서 처음 월급명세서를 받고 난 후 너무 많은 세금에 놀라고, 알 수 없는 단어에 놀라게 된다. 

그래서 오늘은 준비한 월급명세서, 일단 한국어로 이야기 하면 세전 Brutto 세후  Netto로 이야기할 수 있다.  

여기서 오늘은 세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한다.  

 

 

1.  내가 벌은 돈에 대한 세금  Lohnsteuer 

2.  의료보험료 Krankenversicherung

3. 연금 Rentenversicherung

4. 직장을 일었을때를 대비하는 세금 Arbeitslosenversicherung

5. 요양.보호 보험료 Pflegeversicherung 

 

이렇게 크게 5가지로 나누어지며, 세금의 % 는 본인의 세금 Klasse에 따라 다르다. 

 

Klasse 1. 미혼, 혼자 사는 사람
Klasse 2.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사람
Klasse 3. 결혼한 부부 중에 월급이 높은 사람
Klasse 4. 결혼한 부부의 월급이 같을 경우
Klasse 5. 결혼한 부부 중에 월급이 낮은 사람
Klasse6. 두번째 직업 또는 부업인 경우 

 

독일의 세금의 무서움 => 예를 들어 70유로의 추가 금액을 받게 되었는데, 위의 모든 세금을 다 떼고 나니 32유로 받은 적이 있다. 

 

일반 싱글의 경우 세금 Klasse 1로 대략 40%의 세금을 내게 된다. 이 때문에 많은 회사 동료들은 추가 근무를 하고 난 후 추가로 돈을 받지 않고 휴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 (나 역시도 추가 근무를 휴가로 자주 받는데, 이로 인해 기본 30일의 휴가 일 수에 대략 추가로 10일 이상의 휴가를 가지게 된다.) 

 

한국에서의 일할 때와 대비 하였을 때 확실히 세금을 많이 내기는 하나, 한국에서는 국민연금 따로, 개인이 내는 연금 따로, 공공의료 보험 따로, 개인 의료보험 이렇게 들었을 때와 비교해 보면 금액 면에서는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 

 

독일에서 일을 구할때에는 절대 단순히  Brutto만 보면 안 되며, 세금을 제외한 금액을 대략 확인 후 한국의 월급과 비교하는 것이 좋다.

https://www.handelsblatt.com/brutto-netto-rechner/ 

 

위 사이트에 들어가면 본인의 대략적인 월급을 확인해 볼 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들어가서 확인해 보길 바란다. 

 

 

댓글